반응형
6. SNS 메신저 이용행태
-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던 인스타그램은 올해 페이스북을 제치고 SNS 주 이용 서비스 1위를 기록
- SNS 핵심 이용층인 여성과 저연령대의 서비스 선호도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 카카오톡 부가 서비스는 여전히 화발한 이용을 보이며 전년 대비 선물하기, 카카오페이 등 커머스 금융 영역의 성장이 두드러진다
- 페이스북은 조금씩 모바일 메신저로서의 존재감을 키우고 있음. 특히 10대는 카카오톡 만큼 페이스북 메신저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이는 친구들과의 소통을 위한 전용 수단으로 활용하는 트랜드 때
1) 인터넷 이용자의 10명 중 8명은 SNS를 이용
: 10-20대의 저연령층은 타 연령 대비 상대적으로 SNS 이용에 거욱 적극적인 모습

2) 주요 SNS 이용 서비스는 인스타그램 > 페이스북 > 밴드 순
: 인스타그램은 페이스북을 제치고 가장 높은 응답을 기록했으며 SNS 핵심 이용층인 10-20대는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를 활발히 이용

3) SNS를 통한 주요 활동은 게시글 좋아요/댓글 작성
: 여성은 남성 대비 좋아요/댓글 게시글 작성 및 공유 이벤트 참여 등에 보다 적극적인 태도

4) 인터넷 이용자의 98.2%가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
: 성별에 따른 이용률의 차이는 크지 않으며 모바일 메신저는 전 연령대에서 높은 이용을 보임

5) 모바일 메신저 이용자의 대부분이 카카오톡을 사용
: 10대의 페이스북 메신저 이용률은 타 연령 대비 매우 두드러지며, 30ㄱ0대의 경우 상대적으로 라인과 텔레그램 이용이 활발함

6) 카카오톡 이용자 10명 중 약 9명은 카카오톡 내 부가 서비스 이용
: 2030대는 사앧적으로 타 연령 대비 카카오톡 부가 서비스 이용에 적극적인 모습

7) 카카오톡 주 이용 부가 서비스는 선물하기 이며 카카오페이 > 유료 이모티콘 순
: 카카오페이 이용률은 전년 대비 크게 성장했으며, 20대는 타 연령 대비 카카오톡 부가 서비스를 활발히 이용하는 핵심 이용층

- 출처 : 나스미디어
- 조사기간 : 2019.12.20~2020.01.09
- 조사 방법 : 모바일 설문 오픈 서베이 조사 대행
반응형
'AD > 리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미디어 이용 행태로 본 팬덤 타겟의 특성 및 팬덤 타겟 공략 시 맞춤 매체 (0) | 2020.08.13 |
---|---|
[VA] 유튜브 광고 상품과 비슷한 CJ TVE의 메리트(상품소개서 有) CJ 콘텐츠와 크리에이터 활용하면서 조회수도 챙기자!! (0) | 2020.08.10 |
[DA] 카울리 매체 소개서 및 실 광고 집행 결과 공유! 브랜딩과 퍼포먼스에 효과적인 미디어라고 본다. (0) | 2020.08.06 |
마케터를 위한 5가지 미디어 플래닝 포인트!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디어 플래닝 전략!! (0) | 2020.07.27 |
2020년도 동영상 유형별 이용 행태 (0) | 2020.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