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 카카오 / 구글 / 페이스북 4곳의 사업 부문별 주요 이슈와 향후 계획을 살펴볼건데 그 첫번째로
1탄 - 국내 주요 매체인 네이버와 카카오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네이버
1) 매출 : 1조 9,025억원(*YoY +17%)
2) 주요 사업 부문
- 온라인 쇼핑 수요 증가 지속 : 스마트 스토어 거래액(YoY +64%)
- 네이버페이 결제처 확대 : 거래액 6조원 동화(YoY 56%)
- 웹툰 글로벌 성장 지속 : 글로벌 MAU 6,400만 달성, 글로벌 거래액 YoY 57%
3) 광고
- *성과형 광고 확장으로 코로나 19 영향 최소화 : 디스플레이 광고 YoY +5%
4) 향후 계획
- 커머스 : 라이브 커머스, 물류 파트너십 등 SME 지원책 준비
- 페이 : 쇼핑몰, 식당 등 업종별 상위 결제처로 사업 영역 확대
- 금융 : SME 전용 대출 상품 준비
- 웹툰 : 미국 중심으로 지배구조 개편해 글로벌 역량 집중 예정
- 성과형 광고 확대 적용, 자동입찰 고도화 및 타겟팅 강화 예정
*YoY : Year On Year의 약자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감율을 뜻한다.
*네이버 성과형 광고 플랫폼 GFA 자세히 알아보기!
2020/08/14 - [광고마케팅 트렌드] - 네이버 성과형 광고 플랫폼 GFA와 보장형 광고 플랫폼 NOSP 효율 비교
네이버 성과형 광고 플랫폼 GFA와 보장형 광고 플랫폼 NOSP 효율 비교
네이버 성과형 광고 플랫폼 GFA(GLAD for Advertiser) 네이버는 보장형 광고 플랫폼인 NOSP와 19년도 4월에 오픈한 성과형 광고 플랫폼 GFA를 운영하고 있다. GFA는 네이버의 주요 지면과 서브 지면에 광고�
jpddung.tistory.com
스마트스토어, 네이버페이, 웹툰, 광고등 모든 영역에서 YoY가 크게 증가하여 2분기 네이버 주식을 보면...
4월 1일 기준 163,000원 하던게 6월 30일 기준 267,000원 3달동안 61% 상승하였다
네이버 주식을 못산것이 크게 후회된다.....ㅠㅠ

2. 카카오
1) 매출 : 9,529억원(YoY +30%)
2) 주요 사업 부문
- 카카오커머스 선장 지속 : 전체 거래액 YoY +57% / 톡스토어 거래액 YoY x5배
- 금융 서비스 이용 증가 : 펀드 투자 월 300만 건 이상
- 모빌리티 사업 안정적 궤도 : 2Q 카카오 T 블루 차량 + 6,200대
- 웹툰 일본 시장 내 영향력 증가 : 픽코마 거래액 YoY x2.5배
3) 광고
- 전략 광고주 예산 증가 및 신규 광고주 유입으로 카카오톡 비즈보드 성장
4) 향후 계획
- 금융 : 디지털 보험사 설립 추진, 전자문서 서비스 활성화 집중
- 모빌리티 : 카카오 T 법인회원 전용 페이지 '비즈홈' 출시 예정
- 콘텐츠 : 카카오톡 동영상 플랫폼 톡TV 출시
- 광고 : 비즈보드 노출 지면 확대(다음, 다음웹툰, 카카오페이지), 세부 타겟팅 고도화 예정
카카오도 네이버와 같이 모든 영역(카카오 커머스, 금융, 모빌리티, 웹툰 등)에서 성장하였고
주식 차트에 상승 곡선을 확인할 수 있다.
4/1 150,500원 > 6/30 267,500원으로 56.3% 증가

SUMMARY

'AD > 리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광고 효율을 높이는 크리에이티브 제작 팁 TIP 과 광고 반응에 영향을 주는 주요 키워드 (0) | 2020.08.19 |
---|---|
구글 vs 페이스북 2분기(2Q) 매출 및 사업 부문별 주요 이슈 정리 그리고 향후 계획 (0) | 2020.08.18 |
네이버 성과형 광고 플랫폼 GFA와 보장형 광고 플랫폼 NOSP 효율 비교 (0) | 2020.08.14 |
2020년 미디어 이용 행태로 본 팬덤 타겟의 특성 및 팬덤 타겟 공략 시 맞춤 매체 (0) | 2020.08.13 |
[VA] 유튜브 광고 상품과 비슷한 CJ TVE의 메리트(상품소개서 有) CJ 콘텐츠와 크리에이터 활용하면서 조회수도 챙기자!! (0) | 2020.08.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