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픈서베이에서 지난 4월
2020년 상반기 패션 트렌드 서베이 리포트를 발행하였다.
두번째, 오픈 서베이 패션 트렌드 리포트
의류 구입 브랜드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1. 응답자 93%가 SPA 브랜드 구매 경험
특히 유니클로 인지도 90% 구매 경험률 7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성 20-30대 의류 구매 빈도가 높은 층에서 다양한 SPA 브랜드를 구매하였다.
SPA에서는 유니클로 브랜드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 같다.
2. 유니클로 압도적 구매 감소
구매 증가한 SPA 브랜드는 없다가 절반 이상이고 구매 감소한 SPA 브랜드는 유니클로가 독보적이다. 특히 유니클로는 20대 층(73%)에서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구매 증가] 부분에서 여성은 자라 미쏘 20대는 스파오 에잇세컨즈 미쏘 30대는 탑텐 자라 지오다노 브랜드가 증가했다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남성과 10대 40대는 구매 증가 브랜드가 없다고 응답한 비중이 높았다. [구매 감소] 부분에서 남성은 지오다노 여성은 후아유 갭 미쏘로 나왔다. 10대는 스파오 20대는 유니클로, 스파오, H&M, 에잇세컨즈 30대는 지오다노, 후아유, H&M, 망고 40대는 지오다노, 자라, 갭의 구매가 감소했다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유니클로 일본 불매 운동 타격 제대로 받은 듯 하다. 특히 #선취력이 강한 MZ세대한테 외면받은 브랜드로 손꼽힌다.
3. SPA 브랜드 구매 감소 이유
유니클로는 부정적인 기업 이미지 때문에 감소하였고 지오다노/에잇세컨즈는 비슷한 디자인의 상품을 다른곳에서도 구매 가능하여 감소하였다. 특히 후아유는 다른 SPA 브랜드를 이용하게 되고 옷 입는 취향이 변해서 자라는 품질 대비 고가여서 GAP은 주변 오프라인 매장이 없어서 구매가 감소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SPA 브랜드 별 제품 디자인이 비슷해 보여서 유사 브랜드 안에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해보인다. 그리고 GAP은 내가 미국이나 하와이 여행 갔을때 GAP 매장을 이용했는데 상당히 만족스러웠다. 가격대비 퀄리타가 좋아서 그때 옷을 많이 사왔던 기억이 있는데(물론 아울렛이었지만...) 매장이 많이 생기면 좋을듯 하다.
4. 브랜드별 이미지
고급스럽고 트렌디한 이미지는 자라 품질이 좋은 이미지는 지오다노 자라 유니클로 기업이미지가 좋은 브랜드는 지오다노 탑텐 등이 꼽힌다.
반응형
'AD >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19 이후의 국내 여행의 변화 - 식도락, 자연풍경감상, 휴식 등이 있다. (0) | 2020.09.15 |
---|---|
2020년도 패션 트렌드 리포트_무신사, 지그재그, 원더플레이스, 에이블리 등의 멀티브랜드 샵/쇼핑몰 리포트│최종정리 (0) | 2020.09.14 |
2020 패션 트렌드 리포트_ver.1 (0) | 2020.09.10 |
배달 서비스 트렌드 리포트 서베이│최종 요약 정리 (0) | 2020.09.08 |
음식 배달 서비스 업체별 이용행태 (0) | 2020.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