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 광고 효율은 어떻게 될까?
금번 DMC 리포트에 따르면 인스타그램 캠페인 데이터(20.04~20.06)를 노출 지면별, 광고 목표별, 성연령별, 업종별로 비교해봤다.
인스타그램 광고 노출 지면
- 피드 : 인스타그램 게시물 영역에 노출되는 광고, 모든 목적의 광고 집행 가능
- 스토리 : 인스타그램 스토리 이동 간 노출되는 광고, 카탈로그 판매, 게시물 참여, 메시지, 매장 방문 목적의 광고를 제외하고 모든 목적의 광고 집행 가능
- 탐색 탭 : 2019년 하반기에 추가된 노출 지면으로 인스타그램 둘러보기(탐색)탭에서 콘텐츠를 클릭한 후, 게시물을 스크롤 할 시 노출되는 광고(피드 지면 광고를 운영해야만 집행 가능)
■노출 지면별 비교
☞ 클릭율은 피드 지면, 동영상 100% 재생률은 스토리 지면에서 우수
2분기 인스타그램 캠페인 데이터를 노출 지면별로 살펴본 결과, 피드 지면이 2.37%의 클릭율을 달성하며 타 지면 대비 우수했다.

■광고 목표별 비교
☞ 카탈로그 판매의 클릭율이 우수, 100% 재생률은 동영상 조회>트래픽>참여 순
광고 목표에 따른 클릭율 비교에서는 카탈로그 판매 목적 광고의 클릭률이 타 목표 대비 우수했다.
카탈로그 판매 목적의 광고는 이커머스 업종에서만 집행되었는데 랜딩 페이지 유입과 판매를 유도하기 위한 소재를 활용하여 우수한 클릭률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성/연령 별 비교
☞ 클릭률과 동영상 100% 재생률은 여성, 노출과 도달 효율은 남성 우수
성별 비교에서는 13-17세 연령그룹을 제외, 모든 연령그룹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클릭률을 보였다.
연령 별 집행 비중은 18-44에서 높았고 45세 이후로는 비중이 감소하여 판단에 유의해야 한다.

■ 업종별 비교
☞ 클릭률은 유통 > 건강식품 > 생활용품 순, 예산 대비 노출은 기타 서비스가 우수
타 업종 대비 가장 우수한 클릭률은 유통 업종에서 6.55% 집계되었으며 이후 건강 식품 생활용품 순으로 집계
업종 전체 평균 클릭률은 2.34%이다.
동영상 100% 재생률은 음료/주류/기호식품이 4.5%의 수치로 타 업종 대비 가장 우수했다.

■ 인스타그램 2019년 피드/스토리 vs 2020년 피드/스토리 지면 효율 비교
2019년도에 비해 2020년에는 스토리 지면처럼 스토리 영상 사이에 노출되는 광고에 대한 유저들의 관심도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기존 피드 업로드 위주의 인스타그램 활용 뿐만 아니라 스토리를 통한 공유 기능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된 것의 간접적인 영향으로 판단된다.

- 보고서 제목 : 2020년 7월 데이터 효율로 보는 이달의 상품
- 보고서 작성 일자 : 2020.07.21
- 작성자 : DMC MEDIA
- 출처 : DMC 리포트
'AD > 리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6월 페이스북 리포트_Ver.1 _소비자 행동 변화 (0) | 2020.08.27 |
---|---|
카카오톡 비즈보드 상품명 변경 및 노출 확대 (0) | 2020.08.22 |
디지털 광고 효율을 높이는 크리에이티브 제작 팁 TIP 과 광고 반응에 영향을 주는 주요 키워드 (0) | 2020.08.19 |
구글 vs 페이스북 2분기(2Q) 매출 및 사업 부문별 주요 이슈 정리 그리고 향후 계획 (0) | 2020.08.18 |
네이버 vs 카카오 2분기(2Q) 매출 및 사업 부문별 주요 이슈 정리 그리고 향후 계획 (0) | 2020.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