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꿀팁, 노하우)

부동산 세금 종류 쉽게 이해하기! 부동산 공부 시작

by 생생정보T스토리 2021. 12. 5.
반응형

부동산 세금 듣기만 해도 머리가 아프고 양도세 양도소득세 취득세 종부세 등등...

뭔가 뭔지 헷갈리시는 사람들이 많다.

 

사실 부동산 전문가들도 잘 모른다.

왜냐하면 매년 이 규칙은 바뀌고 정책이 바뀌고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적용되는 것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은 큰 뼈대만 배워보도록 하겠다.

 

부동산 세금은 크게 3가지로 구분이 되며 이거 3개만 알아도 부동산 세금에 대해서 기본 구조는 알게 된다.

 

부동산은 세금을 크게 3번 낸다.

1. 집을 살때

2. 집을 보유할 때

3. 집을 팔 때

 

쉽다 쉬워!!

 

1. 집을 살 때는 = 취득세라고 말하고

2. 갖고 있을 때는 = 보유세

3. 팔 때는 = 양도세라고 한다.

 

 

 

 

1. 집을 살 때 = 취득세

집을 살때 내야 하는 세금으로 금액은 1%다.

내가 만약 3억짜리 아파트를 산다면 300만 원 정도 낸다.

물론 지방세 등 취득가액에 따라 다르지만 우선 이 정도만 알아도 된다.

 

그런데 여기서 취득세 1%는 집이 한 채일 때 내는 세금으로

만약 2 채라면? 세금을 8% 내야 한다.(취득세 중과)

즉, 2번째 집(5억)을 산다면? 8%인 4천만 원을 내야한다...취득세로만 4천만원 이라니... 너무 부담된다.

현 정부 정책이 이러하고 그 의도는 집 2채 3채 사지 마 1채만 가지고 있어라는 것이다.

*참고로 3채부터는 12%가 적용된다.

 

[취득세]

1채 2채 3채
1% 8% 12%

 

그런데 여기서 예외가 있다.

규제지역과 비 규제지역

 

규제지역은 쉽게 이야기하면 서울/수도권이고

비 규제지역은 지방이다.

 

위 취득세 중과는 비규제가 역에서는 적용이 되지 않는다.

만약 내가 충청도나 강원도에 2번째 집을 산다면?

취득세 8%가 아닌 1%만 낸다. 위 취득세 중과는 2번째 집이 규제지역에 들어갔을 때 이야기다.

 

 

 

2. 갖고 있을 때 = 보유세

사고 나서 내가 보유할 때 얼마를 내야 할까?

보유세도 크게 2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재산세 / 종부세

 

재산세는 명의, 과세표준, 도시지역분, 지방교육세 등 계산방법이 매우 복잡하다.

이건 재산세 계산 사이트를 통해 따로 알아보면 되는데 그건 따로 검색을 통해 알아보면 되고

간단히 이 정도구나?라고만 이해해도 된다.

 

① 재산세는 매년 낸다 7월과 9월에 1년에 2번 낸다.

② 서울에 10억 정도 아파트 보유하고 있다? 1년에 300만 원 정도 나갑니다

 

 

 

3. 집을 팔 때 = 양도소득세

1세대 1 주택 2년을 갖고 있으면 비과세를 준다.

세금을 내지 않는다는 이야기로 팔 때 따로 돈을 지불하지 않는다.

하지만 여기서도 조건이 보유/거주 2가지가 있는데

쉽게 말해 규제지역에 집이 있는데 팔 때 세금을 안 내려면 거주까지 해야 된다.

즉, 갭 투자를 하지 말라는 뜻이다.(전세 주고)

하지만 비규제 지역은 보유만 하고 있어도 된다.

 

만약 1년 이내에 판다면 약 70%

2년 이내에 판다면 약 60%입니다

이 정도 이상의 가치가 나지 않는다면 기본적으로 2년 보유/거주 쪽으로 가야 한다.

반응형

댓글